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3)
전문가의 조건, 제2장 기술적 합리성과 행위 중 성찰 지난 1장 리뷰에 이어 Donald Schon의 2장 '기술적 합리성과 행위 중 성찰' 리뷰이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1부는 행위 중 성찰로서 전문가 지식의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한다. 특히 기술적 합리성과 비교하여 현시대에서 필요한 전문가의 능력인 '성찰'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문가의 조건: 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전문가의 조건 | 도날드 쇤 - 교보문고 전문가의 조건 | 오늘날 사회를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라고 부른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일터 세계가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 조직, 국가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지식의 양과 질은 무한 product.kyobobook.co.kr 저자: 도날드 쇤 옮긴이: 배을규 제2장 기술적 합리성과 행위 중..
전문가의 조건, 제1장 전문가 지식: 신뢰의 위기 Donald Schon은 하버드 대학에서 듀이의 탐구 이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수이다. MIT 대학의 '도시연구 및 교육'학과의 교수로서 전문가의 실천, 성찰 등의 대한 연구와 교육, 자문 활동을 수행하였다. 교원양성교육과정 수업을 들으면서 전공 책은 아니지만 '성찰적 실천가'에 대한 방법과 개념을 탐구하고자 이 책을 공부하게 되었다. 일부지만 책에 제시된 중요한 메시지를 정리해보고, 관련된 고민과 질문을 블로그에 기록하고자 한다. 전문가의 조건: 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전문가의 조건 | 도날드 쇤 - 교보문고 전문가의 조건 | 오늘날 사회를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라고 부른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일터 세계가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 조직, 국가의 생존과 성장..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_ 콜버그의 정의공동체로서의 학교와 권한부여 교육학 박사과정, 교육과정사회학 수업의 2번째 시간은『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저자: 이윤미 외 8인) 에서 제1부 권력과 실천 중 콜버그의 정의공동체학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확실히 1장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보다는 내용이 쉬웠고, 학교 현실 상황과 비교해보기도 조금은 수월했던 글이었다. 물론 콜버그가 언급한 정의공동체로서의 학교가 과연 얼마나 현실 가능할까?에 대한 고민과 질문은 여전히 남아있다. [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도서 구입 링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이윤미 - 교보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미래교육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한국 교육학의 실천적 성찰을 위한 탐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이 책은 교육학에 대해서 다룬다. produ..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_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 교육학을 전공하고 있고, 박사과정 4학기 차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학기 교육과정사회학 수업에서는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저자: 이윤미 외 8인) 을 다루게 되었는데 매번 논평을 작성하게 되어서 블로그를 통해 공유하고자 한다. [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도서 구입 링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이윤미 - 교보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미래교육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한국 교육학의 실천적 성찰을 위한 탐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이 책은 교육학에 대해서 다룬다. product.kyobobook.co.kr 제1부 권력과 실천_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 리뷰 듀이와 비고츠키는 교육학을 공부하라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학자 중의 하나이다. 듀이는 ..
교육지도성론_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지도자 유형' 본 글은 박사과정 1학기차 "교육지도성론"이라는 과목 수강중 작성했던 과제 중 일부분을 발췌하였다. 당시 자신의 습관, 성격, 생활, 업무 등의 면에서 "측정이 가능한", "변화시키고 싶은 부분"을 주제로 삼아 교육지도성에서의 함의를 생각해보는 것이 과제였다. 어제 작성했던 글에 이어서 오늘은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지도자의 유형'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한다. 운동을 즐겨 하지 않았던 나는 변화시키고 싶은 부분으로 '꾸준한 운동 습관'을 목표로 삼았다. 약 15일 동안 운동을 실시하고, 운동 시작 시간, 소요시간, 근육량 비교 등을 기록하였다. 과제의 내용은 서론부터 운동 결과까지 포함되어 있지만 다음에서는 부분만 적어보고자 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살펴본 교육지도성에서의 함의 :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
교육지도성론_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동기' 본 글은 박사과정 1학기차에 작성했던 과제 중 일부분이다. 당시 교육행정 "교육지도성론"이라는 과목을 들었는데, 내주신 과제는 자신의 습관, 성격, 생활, 업무 등의 면에서 "측정이 가능한", "변화시키고 싶은 부분"을 주제로 삼아 교육지도성에서의 함의를 생각해보는 것이었다. 일상생활과 연결해서 과제를 하는 것이 생소했지만 재미있었고, 의미있었던 기억으로 남아있다. 나는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살펴본 교육지도성에서의 함의를 생각해보았다. 코로나가 심했을 때라 운동 부족이 나의 문제 중 하나였고, 적어도 이 과제를 하는 동안엔 내 안에 작은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살펴본 교육지도성에서의 함의 :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 내기 위한 동기, 지도자의 유형 이 과제는 2주 동안 주 2, 3회..
북유럽 학교 탐방기(11)_ 자기주도학습이 돋보이는 독일 베츨라어 학교 Friedrich Wilhelm Raiffeisen Schule 출국 전, 마지막으로 방문했던 독일 베츨라어의 학교는 교장 선생님의 열정이 돋보였던 학교로 기억하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이 돋보이는 독일 베츨라어의 ‘chulexpert/Friedrich Wilhelm Raiffeisen Schule’ 출국 전, 마지막으로 방문했던 학교는 학생 개개인에게 관심을 주며, 자기주도적학습 및 개별학습을 중시했던, 비영리 조합 형태의 작은 학교였다. 현재, 9학년까지 학생이 있지만 앞으로 10학년의 학생을 받으려고 준비 중이며, 한 학년에 10명, 전교생 100-110명을 유지하는 것이 학교의 철학이었다. 통신회사도 운영하고 있는 이 학교는 먼저 학교 안을 살펴보고, 학교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조금 떨어져 있는 통신회사도 탐방하였다. 가장 먼저 참관한 수업은 1-2학년이었고,..
북유럽 학교 탐방기(10)_ 자연을 벗 삼아 숲속에서 자리 잡은 독일 비스바덴기독교학교, FCSW 독일의 비스바덴은 독일 중부에 있는 도시로 대표적인 휴양도시 중에 하나이다. '숲속의 온천'이라는 뜻이고, 남녀혼탕 등 온천으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서는 자연 친화적인 비스바덴의 'Freie Christliche schule Wiesbaden' 이라는 학교에 방문했다. 자연을 벗 삼아 숲속에서 자리 잡은 독일 비스바덴기독교학교, Freie Christliche schule Wiesbaden(FCSW) 비스바덴에 있는 FCSW 학교의 로고는 집, 식물, 나무, 십자가가 어우러져 예수님과 함께 식물이 자란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학교는 2003년 독일에서 가장 작은 학교, 학생 6명으로 시작하여 처음 3년 동안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다가 2005년 지금 있는 건물로 이사 와서 학생, 학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