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ald Schon은 하버드 대학에서 듀이의 탐구 이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수이다. MIT 대학의 '도시연구 및 교육'학과의 교수로서 전문가의 실천, 성찰 등의 대한 연구와 교육, 자문 활동을 수행하였다. 교원양성교육과정 수업을 들으면서 전공 책은 아니지만 '성찰적 실천가'에 대한 방법과 개념을 탐구하고자 이 책을 공부하게 되었다. 일부지만 책에 제시된 중요한 메시지를 정리해보고, 관련된 고민과 질문을 블로그에 기록하고자 한다.
전문가의 조건: 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전문가의 조건 | 도날드 쇤 - 교보문고
전문가의 조건 | 오늘날 사회를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라고 부른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일터 세계가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 조직, 국가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지식의 양과 질은 무한
product.kyobobook.co.kr
저자: 도날드 쇤
옮긴이: 배을규
제1장 전문가 지식: 신뢰의 위기
p11, 전문직은 이제 신뢰성과 정당성의 위기라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중략) 전문가들이 독점해온 지식의 배타적 소유권, 사회에 대한 통제 권리는 도전을 받고 있다. 첫째, 전문가들이 더 이상 자신들이 지지하는 가치와 규범에 따라서 살지 않고 있고, 둘째,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더 이상 효과적인 활동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p19, 전문가들이 실천 활동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방법을 찾아내야 하는 것도 중요해질 것이다. (중략) 전문직의 실천 활동에는 기예art라는 설명하기 어려운 역량이 존재한다. (중략) 변화무쌍한 모습으로 그 존재를 드러내고 있다. (중략) 전문가들은 문제 해결과 함께 문제 발견도 중요하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문제를 규정하는problem setting 행위도 중요한 전문가 행위로 인정되어야 한다. (중략) 전문가 각자가 해당 전문직 내의 다양한 관점들 중에서 사려 깊은 선택을 하고 때로는 관점들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요약
전문직의 고유한 지식은 변화하는 실천 상황 특성에 맞지 않다. 지금의 사회는 복잡성, 불확실성, 불안정성, 독특성, 가치 갈등 등을 예측하고 규정하기 어려운 변화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에서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적응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전문가는 혼돈 상태를 관리하고, 실천적 기예를 요구하며 결국 다양한 관점 중에서 사려 깊은 선택을 하고 관점을 조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질문
1) 책에서는 "전문가들이 이용한 과학, 기술, 공공정책들은 도시 황폐화, 환경파괴, 에너지 부족과 같은 국가 위기 상황을 초래하는 주범이 되어버린 것이다."(p10) 라고 언급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해결책은 문제를 더욱 크게 만들고, 악화시켰다고 하는 것에 동의하는가?
2) 책에서는 "우리 사회의 공적 문제들은 전문가들의 순수한 기술적 처방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관련된 사람들의 도덕적, 정치적 선택으로 문제를 규정하고 해결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p10)라고 한다.우리 사회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가운데 전문가의 견해 및 방법과 도덕적,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방식 중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하는 비중이 높다고 생각하는가? 실제 사회 문제를 어떠한 요소를 고려하여 해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참고문헌]
- 배을규(역)(2018). 전문가의 조건-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박영스토리.
'교육학_ 교원양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실천을 하는 전문가 특징 (0) | 2023.04.12 |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실천가로서 교사 (0) | 2023.04.11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연구 4가지 유형 (0) | 2023.04.10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행위 중 성찰/ 성찰적 실천가 (0) | 2023.04.07 |
전문가의 조건, 제2장 기술적 합리성과 행위 중 성찰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