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쇤의 전문가의 조건은 사실 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쓰여진 책이 아니다. 하지만 후반부에 성찰적 실천가로서의 교사의 모습에 대해 예를 들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혁신학교, 대안학교 머릿 속에 그려놓고 다음 내용을 살펴보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될 것이다.
전문가의 조건: 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전문가의 조건 | 도날드 쇤 - 교보문고
전문가의 조건 | 오늘날 사회를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라고 부른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일터 세계가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 조직, 국가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지식의 양과 질은 무한
product.kyobobook.co.kr
저자: 도날드 쇤
옮긴이: 배을규
성찰적 실천을 위한 제도적 맥락_ 성찰적 실천가로서의 교사
기능적 전문가가 아니라 성찰적 실천가로서 교사가 생각하고 행동한다면 관료주의적 학교 시스템에는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성찰적 실천가로서의 교사의 모습은 어떨까?
전문가의 조건 제10장 p315-316에는 성찰적 실천가로서의 교사의 모습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학생들의 입장과 견해를 이해하려 노력할 것
- 기존의 교수안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교육적 아이디어를 도출
- 교과과정은 반드시 학습되어야 할 내용의 자료가 아니라 주제 형태로 제시된 지식과 스킬 목록으로 삼아야 함
- 학생 각자 고유한 잠재력, 문제점, 학습속도를 지닌 고유한 세계라는 사실을 이해하고 자신의 교수 설계에 대한 행위 중 성찰
- 학급은 소규모로 편성하고, 교사는 각자 재량권을 갖고 정해진 학사일정을 변형할 수 있도록 학교의 공간과 시간을 재편
- 개인적 고민과 통찰을 동료들과 소통
- 학교 밖 세계 등 학생에 대한 관심의 범위를 넓혀야 함
- 학생 스스로 직관적 이해를 도모하고 인지적 혼란을 경험하며 새로운 방향의 이해와 행동을 탐색하도록 도와주는 교육적 기술 필요
- 책무성, 평가, 장학 등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관리와 평가는 개별적, 정성적 판단과 내러티브 설명에 의존하고, 장학은 교사들의 행위 중 성찰을 지원하고 조력하는데 초점을 맞춤)
- 학교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지식 이론에 저항, 일정 양의 지식을 전달하는 장소로 학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비판
그리고 성찰적 교육활동을 장려했던 학교는 일반 학교들에 존재하지 않거나 은폐되거나 중요시되지 않는 갈등들과 딜레마를 표면으로 드러내고 해결하였으며, 특정 집단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25:1보다 적은 규모로 운영한다. "좋은 교육", "좋은 교실"은 늘 관심 대상이자 이슈이며, 학교 자원의 한계 상황에서 교과과정과 교육활동의 변형이 결정되는 기준을 설정한다. 또한 성찰적 교육을 지원한 학교의 교장의 경우, 교육의 질에 자신만의 기준을 고수하면서 교사들의 견해를 탐색하려 노력하고, 잘못된 교육 활동은 거부하면서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숙고할 기회를 준다.
[참고문헌]
- 배을규(역)(2018). 전문가의 조건-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박영스토리.
'교육학_ 교원양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교육의 문제점, 큰 이론과 작은 이론 (0) | 2023.05.01 |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실천을 하는 전문가 특징 (0) | 2023.04.12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연구 4가지 유형 (0) | 2023.04.10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행위 중 성찰/ 성찰적 실천가 (0) | 2023.04.07 |
전문가의 조건, 제2장 기술적 합리성과 행위 중 성찰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