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_ 통합교육 (6) 썸네일형 리스트형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모형 하이디 제이콥스는 통합교육과정의 설계모형을 학문기초, 학문병렬, 다학문, 간학문적 단원, 통합 일, 완전 프로그램 6가지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제이콥스의 6가지 모형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통합교육과정 설계모형 (1) 학문기초 내용 중심(학문별/교과별) 설계 모형 개별학문(교과)에 초점을 두고 각 학문별로 학습하는 모형을 말한다. 학교 일과 중 분리된 시간에 분리된 교과를 가르치는 것이다. - 장점: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형식, 교사/학생/학부모에게 친숙하다 - 단점: 교과의 분과화를 통해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학문(교과)이 다른 학문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배우지 못하고 실제 생활을 반영하지 못한다. (2).. 통합교육과정_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설계모형 통합교육과정에서 대표적인 모형으로는 포가티, 제이콥스, 드레이크, 위긴스와 맥타이 모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설계모형은 가장 최신에 나온 통합교육과정 설계모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위긴스와 맥타이(Wiggins & McTigh) 백워드 설계모형 절차 1990년대 말 미국에서 교육의 수월성이 강조되는 시기에 위긴스와 맥타이에 의해 제안되었다. 설계의 방식이 기존의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여서 백워드 디자인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백워드수업설계란 수업 내내 학습활동만 강조하여 이해 능력을 길러주지 못하는 ① 활동 중심 설계를 비판하고, ②많은 내용을 가르치기에 급급하여 이해하지 못함을 비판하여 교육과정 설계는 학생이 배운 내용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어.. 통합교육과정_ 수잔 드레이크(Susan Drake) KDB 모형 절차 지금까지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통합교육과정의 초기 모델인 포가티와 하이디 제이콥스의 설계 절차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합교육과정 모형에서 유명한 Susan Drake의 KDB 모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KDB 모형의 정의 드레이크의 KDB 모형은 '학생들이 학습하기를 기대하는 결과로서 학생들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것'으로 'Know 지식,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 Do 기능', '학생들이 갖춰야 할 가치나 태도 Be 인성'을 다룬다. 설계 과정 중 KDB 우산을 만들기 때문에 '우산 모형' 이라고 하기도 한다. 간략하게 절차를 언급하면, 주제와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을 스캔하고 클러스팅한 후, 지식/기능/인성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결핍된 부분을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통합 단원을 .. 통합교육과정_ 포가티(Forgarty)의 모형 통합교육의 필요성 하이디 제이콥스의 설계 절차 2개의 포스팅에 이어 3번째 포스팅은 포가티(Forgarty)의 10가지 통합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포가티(Forgarty)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포가티는 '교과'를 기준으로 10가지 모형에 대해 언급한다. 교과 내에서의 통합은 분절형, 연결형, 동심원형으로 교과 간의 통합은 계열형, 공유형, 거미줄형, 실로꿴형, 통합형으로 학습자들의 통합을 몰입형, 네트워크형으로 설명하였다. 포가티의 연구는 모형을 비교하는 연구라기보다는 10가지 모형의 종합적으로 연속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분 내용 학문 내에서 통합된 모형 단일교과 내의 통합 ①분절형 ②연결형 ③동심원형 여러 학문에 걸쳐 통합된 모형 여러 교과 간의 통합 ④계열형 ⑤공유형 ..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설계 절차 지난 번 포스팅에서는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론적/심리적/사회적 3가지 기능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중 하이디 제이콥스의 모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통합교육과정 설계 절차 ✔ 제이콥스의 모형은 '간학문적 개념모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제이콥스의 설계절차 제1단계 조직중심의 선정 제2단계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아이디어들의 제시와 결합 제3단계 교육과정의 스코프와 시퀀스를 결정하는 주요 질문의 확정 제4단계 실천을 위한 수업활동안의 작성 ✔ 제이콥스의 설계절차 단계별 내용 1) 제1단계 조직중심의 선정: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핵심으로 작용하는 조직중심을 선정함. 이때 조직중심에 해당하는 토픽으로 주제, 교과내용, .. 통합교육의 필요성_ 인식론적 기능/ 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 지난 학기에 '통합교육과정 이론 및 개발'을 수강하면서 들었던 중요한 내용을 몇 가지 정리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합교육의 개념과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기능을 인식론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통합교육의 필요성 ✔ 통합교육의 정의: 통합교육과정은 교과목들을 분리시키는 경계가 없어지고, 개별적으로 구분되는 교과목들이 사라지는 교육과정 조직을 위한 하나의 접근 ✔ 통합교육과정의 인식론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 김재복(2000) 배진수(1996) 인식론적 기능 ①지식의 변화에 대처 ②지식의 분절화에 대처 ③지식의 유용성과 의미를 높여줌 ①지식의 변화에 대처 -새로운 지식의 폭발적 증가에 대처 가능 -지식의 진부화(지식의 유용성의 상실) 대처 -지식의 분과화에 대처 ②다양한 지식영역..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