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_ 통합교육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설계 절차

지난 번 포스팅에서는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론적/심리적/사회적 3가지 기능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중 하이디 제이콥스의 모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통합교육과정 설계 절차

 

출처: unsplash

 

✔  제이콥스의 모형은 '간학문적 개념모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제이콥스의 설계절차

제1단계 조직중심의 선정

제2단계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아이디어들의 제시와 결합

제3단계 교육과정의 스코프와 시퀀스를 결정하는 주요 질문의 확정

제4단계 실천을 위한 수업활동안의 작성

 

✔ 제이콥스의 설계절차 단계별 내용

1) 제1단계 조직중심의 선정: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핵심으로 작용하는 조직중심을 선정함. 이때 조직중심에 해당하는 토픽으로 주제, 교과내용, 사건, 이슈, 문제 등이 될 수 있음.

- 개념토픽: 정의상 추상적이기 때문에 그 자체가 탐구 대상이 됨. 예) 관찰, 빛, 혁명, 유머, 비행 등

- 사건들: 다양한 수준에서 탐색 가능. 예) 연극 만들기 등 학생의 일상생활의 사건, 사회적 뉴스, 역사적 사건 등

 

※ 1단계는 통합교육과정에서 핵심에 해당하는 조직의 중심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교과 안에 여러 과목을 기준으로 비슷한 내용을 구성할 수도 있고, 학교나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를 그 중심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너무 광범위하거나 편협해서도 안되고, 모든 교과를 통합해야 한다는 생각도 버려야 한다. 최대한 열어두고 통합단원을 구성하는 것이 핵심일 수 있겠다. 


2) 제2단계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아이디어들의 제시와 결합: 교육과정 통합과정에 참여하는 교사와 학생들은 여섯 개의 바퀴살이 있는 바퀴모양의 그림을 이용해서 모든 교과분야에서 신중하게 주제 탐색이 가능함. 바퀴모양 그림을 이용하면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과 빠뜨린 영역에 관심을 갖게 해줌. 

- 바퀴 축: 토픽이나 주제에 대한 조직중심

- 바퀴 살: 하나의 교과영역(전통적인 교과)

 

오스본에 따르면 브레인스토밍은 활동 중에 비판을 금지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해 자발적이고 비일상적 반응들을 통해 창의성을 촉진. 아이디어의 양이 중요하기 때문에 평가는 그 다음으로 하고, 둘 이상의 아이디어들을 결합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 수도 있음. 

 

※ 2단계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최대한 많이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 바퀴 모양을 그리면서 1단계에서 나온 조직중심을 기반으로 여러 교과에 대한 아이디어를 확장해 나가는 것이다. 오스본의 브레인스토밍 원리는 일반적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3) 제3단계 교육과정의 스코프와 시퀀스를 결정하는 주요 질문의 확정: 앞 단게에서 브레인스토밍된 아이디어들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것. 통합단원에서 다뤄야할 주요 질문들의 스코프와 시퀀스가 결정되고 학생들이 학습할 단원의 구조가 만들어짐.

- 주요 질문들은 교차학문적, 조직중심을 탐색하는 기본 틀이 됨.

예) 지능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지능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지능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3단계는 교육과정 안에 어떤 내용을 포함할 것인지 내용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는 스코프와 내용의 계열성 혹은 순서에 해당하는 시퀀스를 결정하는 질문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여러 교과들을 통합한 내용을 가르칠 때 필요한 주요 질문이 무엇인지 적어보는 것이다. 질문의 내용은 꾀 범위가 넓으며 1단계에서 결정한 조직중심을 탐색하는 기본 틀이 된다.


4) 제4단계 실천을 위한 수업활동안의 작성: 탐구해야 할 주요 질문을 결정하고 나면, 그 질문을 탐색하는 수단을 개발해야 함. 수업활동 설계는 간학문적 통합단원의 조직 중심을 검토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줌. 

- 수업결과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들을 행동적 목표로 진술하는 것이 중요함. 잘 진술된 목표는 모호성을 줄이고, 학생들의 독립적인 학습활동을 하게 함. 

 

※ 4단계는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될지 수업활동을 작성하게된다. 수업활동 계획안에는 주요 질문, 목표, 절차, 자료/자원의 평가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단계에서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학(지식/이해/적용/분석/종합/평가)은 창의적 문제 해결 모형의 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칸을 다 채워서 개발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잘 진술된 목표가 중요하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 김대현·이영만(1995). 학교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서울: 양서원.
  • Heidi Hayes Jacobs(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S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