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_ 통합교육

통합교육과정_ 수잔 드레이크(Susan Drake) KDB 모형 절차

지금까지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통합교육과정의 초기 모델인 포가티와 하이디 제이콥스의 설계 절차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합교육과정 모형에서 유명한 Susan Drake의 KDB 모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KDB 모형의 정의

출처: unsplash

 

드레이크의 KDB 모형은 '학생들이 학습하기를 기대하는 결과로서 학생들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것'으로 'Know 지식,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 Do 기능', '학생들이 갖춰야 할 가치나 태도 Be 인성'을 다룬다.  설계 과정 중 KDB 우산을 만들기 때문에 '우산 모형' 이라고 하기도 한다.

 

간략하게 절차를 언급하면, 주제와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을 스캔하고 클러스팅한 후, 지식/기능/인성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결핍된 부분을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통합 단원을 구성하는 일이다. 각 단계는 서로 연관되어 있고, 겹쳐지거나 앞뒤로 변경 가능하다.

 

다음에서는 KDB 모형의 절차를 순서대로 설명하고자 한다. 순서 및 용어는 예시마다 나라마다 학교 현장마다 약간씩 다르게 소개되어 있을 수 있다. 보통 번역서에 보면 '표준'이라고 쓰여 있는 명칭은 우리나라의 '성취기준'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1) 주제를 선정한다. 연령에 적합하고 적절한 토픽 및 주제를 선정 예) 우화

(2) 관련된다고 생각하는 학년의 교과들의 성취기준을 추출한다. 

(3) 연결을 위한 교육과정 성취기준 도해, 표준의 수직, 수평적 스캔 및 클러스터 한다.

- 교육과정도해:교육과정을 가로질러 표준들을 클러스터한 것을 살펴보는 것(큰 그림 보기)
- 수직적 스캔:어떤 학년의 하위 두학년과 상위 한 학년에 대해 수직적으로 표준을 살펴보는 것
- 수평적 스캔:학년에서 배우는 교과들의 표준을 가로질러 살펴보는 것

(4) 성취기준 토대로 공통적인 지식, 기능을 추출하고, 공통적 지식에서 큰 아이디어를 추출, 공통적 기능에서도 큰 기능을 추출한다. 

- 큰 아이디어: 교사.학생들이 쉽게 이해하는 기술적 용어, 보편적 개념, 균형, 다양성, 변화, 갈등해결, 관련성 등

- 기능: 읽기, 쓰기, 의사소통, 갈등해결, 문제해결, 대인관계 등

(5) 지식과 기능을 토대로 인성도 추출한다. (인성: 책임감, 자기조정, 공감, 협력 수용 등)
(6) 큰 아이디어를 토대로 큰 이해를 만든다.

- 큰 이해: 큰 아이디어를 넘어선 고차적 수준의 지식으로 예를 들어, '예술은 문화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그것을 형성하기도 한다'이다.
(7) KDB 우산을 만든다.

KDB 우산 모형

 

(8) 탐색망을 만든다. 교과가 어떻게 관련되는지 보여주는 것으로 학습활동 계획 시 유용하게 이용된다.

(9) 추출한 지식, 기능, 인성 관련 성취기준을 토대로 광범위한 표준(학생들의 성취가 무엇이어야 하는지) 도출한다. 

(10) 큰 평가과제 만든다. 

(11) 큰 이해를 토대로 큰 질문을 만든다.

(12) 큰 질문을 다룰 소단원(차시별 목표 및 학습활동)을 구상한다.

(13) 표준기반 활동의 평가과제 만든다.(소단원)

 

 

[참고문헌]

  • 박영무·강현석·허영식· 김인숙(역)(2006). 통합교육과정. 서울: 원미사.
  • Susan M. Drake & Rebecca C. Burns(2004). Meeting Standard Through Intergrated Curriculum. ASCD.
  • Susan M. Drake(2007). Creating Standard-Based Intergrated Curriculum(2nd). Thousands Oaks, CAL Corw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