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의 포스팅에 이어 3번째 포스팅은 포가티(Forgarty)의 10가지 통합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포가티(Forgarty)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포가티는 '교과'를 기준으로 10가지 모형에 대해 언급한다. 교과 내에서의 통합은 분절형, 연결형, 동심원형으로 교과 간의 통합은 계열형, 공유형, 거미줄형, 실로꿴형, 통합형으로 학습자들의 통합을 몰입형, 네트워크형으로 설명하였다. 포가티의 연구는 모형을 비교하는 연구라기보다는 10가지 모형의 종합적으로 연속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분 | 내용 |
학문 내에서 통합된 모형 단일교과 내의 통합 |
①분절형 ②연결형 ③동심원형 |
여러 학문에 걸쳐 통합된 모형 여러 교과 간의 통합 |
④계열형 ⑤공유형 ⑥거미줄형 ⑦실로꿴형 ⑧통합형 |
학습자들 간의 연계를 통해 통합된 모형 학습자들 간의 통합 |
⑨몰입형 ⑩네트워크형 |
[단일교과 내 통합]
①분절형: 단일교과나 학문 내용 영역에 대해 경계를 구분하여 수업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교육과정은 이런 개별적인 교과들을 강조한다. 국어, 영어, 수학, 미술 등 주요한 학문을 분류한다.
②연결형: 개별 교과 영역의 주제와 개념, 기능들을 관련된 다른 주제와 개념, 기능들에게 연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늘 공부했던 것을 다음 날 공부랑 연결시키고, 이번 학기 공부했던 것을 다음 학기까지 연결할 수 있다.
③동심원형: 다양한 목표를 구조화하여 포개는 방식이다. 여러 목적을 통합하여 한 덩어리의 목적으로 묶어내는 것인데, 사고 기능과 협동적 기능을 도입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교과 간 통합]
④계열형: 두 개의 교과 내용에서 관련성을 찾고, 유사한 단원을 일치시켜 주제를 재배열하고 계열화하는 것이다. 가르칠 주제가 비슷하다면, 비슷한 시기에 순서를 계열화할 수 있다.
⑤공유형: 두 개의 교과에서 공유된 개념을 토대로 공통성을 찾고 통합 단원을 구성한다. 교육과정 간의 공통성을 찾는 것이다.
⑥거미줄형: 교과를 통합하기 위한 주제접근방식이다. 어떠한 주제가 정해지면 다양한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흥미로운 주제들이 선정된다면 초보교사들도 실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⑦실로꿴형: 모든 교과를 실로 꿰는 듯한 방식으로 학습에 접그하는 것이다. 모든 교과 내용의 핵심을 관통하거나 교차하는 메타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⑧통합형: 중복되는 개념을 토대로 여러 교과를 통합하는 모형이다. 공유형과 비슷하지만 더 다양한 과목들을 통합시키고, 주요 교과들을 교육과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배치하고, 중복되는 개념/기능/태도를 찾아 혼합할 수 있다.
[학습자 간 통합]
⑨몰입형: 참여자들이 모든 교과로부터 학습한 것을 자신의 관심을 통해 걸러내면서 모든 자료를 통합한다. 통합이 내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⑩네트워크형: 학습자가 필요한 네트워크를 스스로 선정하고 통합함으로써 통합과정을 주도한다.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로부터 시작해 스스로 필요한 자원을 모으면서 확장해 나간다.
[참고문헌]
- 김재복(편저)(2000). 통합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 Robin Fogarty(1993). Intergrating the Currucular. IRI Skylight.
'교육학_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모형 (0) | 2023.04.24 |
---|---|
통합교육과정_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설계모형 (0) | 2023.04.03 |
통합교육과정_ 수잔 드레이크(Susan Drake) KDB 모형 절차 (0) | 2023.03.31 |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설계 절차 (0) | 2023.03.29 |
통합교육의 필요성_ 인식론적 기능/ 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