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학기에 '통합교육과정 이론 및 개발'을 수강하면서 들었던 중요한 내용을 몇 가지 정리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합교육의 개념과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기능을 인식론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통합교육의 필요성
✔ 통합교육의 정의: 통합교육과정은 교과목들을 분리시키는 경계가 없어지고, 개별적으로 구분되는 교과목들이 사라지는 교육과정 조직을 위한 하나의 접근
✔ 통합교육과정의 인식론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
김재복(2000) | 배진수(1996) | |
인식론적 기능 | ①지식의 변화에 대처 ②지식의 분절화에 대처 ③지식의 유용성과 의미를 높여줌 |
①지식의 변화에 대처 -새로운 지식의 폭발적 증가에 대처 가능 -지식의 진부화(지식의 유용성의 상실) 대처 -지식의 분과화에 대처 ②다양한 지식영역들 간의 상호 관련성 증대 ③학문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인식 |
심리적 기능 | ①학습자의 학습과정에 일치하는 교육 실시 ②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필요에 적합 교육 실시를 용이 ③전인적 발달에 용이(인지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적, 정서적, 도덕적 발달 등을 포함) |
①학습이 용이한 교육과정 제공 ②학습을 통한 인격 발달의 촉진 |
사회적 기능 | ①사회문제 대처에 용이 ②교수학습과정에서 협동성을 기를 수 있음 ③학교와 사회의 연계를 용이하게 함 |
①협동을 통합 교수-학습 ②간학문적 문제에 대처 ③학교와 사회의 연결 |
[참고문헌]
- 김대현·이영만(1995). 학교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서울: 양서원.
- 김재복(편저)(2000). 통합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 배진수·이영만(1996).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서울: 학지사.
'교육학_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모형 (0) | 2023.04.24 |
---|---|
통합교육과정_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설계모형 (0) | 2023.04.03 |
통합교육과정_ 수잔 드레이크(Susan Drake) KDB 모형 절차 (0) | 2023.03.31 |
통합교육과정_ 포가티(Forgarty)의 모형 (0) | 2023.03.30 |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설계 절차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