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디 제이콥스는 통합교육과정의 설계모형을 학문기초, 학문병렬, 다학문, 간학문적 단원, 통합 일, 완전 프로그램 6가지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제이콥스의 6가지 모형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통합교육과정 설계모형
(1) 학문기초 내용 중심(학문별/교과별) 설계 모형
개별학문(교과)에 초점을 두고 각 학문별로 학습하는 모형을 말한다. 학교 일과 중 분리된 시간에 분리된 교과를 가르치는 것이다.
- 장점: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형식, 교사/학생/학부모에게 친숙하다
- 단점: 교과의 분과화를 통해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학문(교과)이 다른 학문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배우지 못하고 실제 생활을 반영하지 못한다.
(2) 학문병렬 설계 모형
두 교과 이상의 단원을 같은 시간에 배열하는 것이다. 즉, 가르치는 순서를 조정하는 것으로 각 교사들이 다른 교과에서 자신의 수업과 같은 영역의 수업이 이루어질 때 함께 일치시키는 수업을 계획할 수 있다.
- 장점: 교육과정 설계 시 어려움이 적고, 교과내용을 가르치는 "시기"만 제외하고 교육과정 자체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 단점: 체계적인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학생들이 교과들 간의 관계를 스스로 밝혀야 한다.
(3) 다학문 보완적 단원 모형
주제나 쟁점이 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몇몇 교과들을 형식적 단원으로 묶는 모형이다.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두 개의 교과를 묶어 하나의 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 장점: 함께 묶는 지식분야들(교과들) 사이에 분명한 연관성이 있다면 자신이 직접 설계 가능하다.
- 단점: 수업시간표를 변화시켜야 하므로 '저항'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학생들의 전통적인 지식관을 재검토해야 한다.
(4) 간학문적 단원 모형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추출된 문제나 주제 또는 개념을 중심으로 교과를 연결시키며 수업시간에 길게 구성할 수 있다. 개별교과의 관점이 수용되고, 교과의 각 단원들을 가르치는 기간이 정해진다.
- 장점: 종합적인 인식론적 경험을 제공하고, 기존의 교육과정의 주제나 쟁점이 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간학문적 단원을 설계할 수 있다.
- 단점: 상당한 노력과 변화를 요구한다. 학무의 간학문적 단원의 가치 인식이 필요하다.
(5) 통합 일 모형
아동의 흥미와 관심사에 초점을 두고 주제를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인위적인 시간표가 없다.
- 장점: 인위적인 수업시간표가 없는 날에 해당한다. 학생들의 필요나 흥미에 따라 조직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동기유발 수준이 매우 높다.
- 단점: 많은 교사들이 이 모형의 바탕이 되는 철학적 입장을 지지하지 않고, 수업 관리가 복잡하고 많은 노력과 계획을 요구한다. 또한 기초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핵심적 사항이 충분히 학습되리라는 보장이 없다.
(6) 완전 프로그램
가장 극단적인 간학문적 통합으로 학생들의 생활 자체가 통합교육과정이다.
- 장점: 통합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프로그램이다. 초점은 학생들의 생활이다.
- 단점: 통합에 대한 급진적인 방식으로 학생들이 표준 교육과정을 배우게 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추가적으로 아래 포스팅에서는 하이디 제이콥스의 합교육과정의 설계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통합교육과정 설계 절차
[참고문헌]
- 김대현·이영만(1995). 학교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서울: 양서원.
- 김재복(편저)(2000). 통합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 Heidi Hayes Jacobs(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SCD.
'교육학_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과정_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설계모형 (0) | 2023.04.03 |
---|---|
통합교육과정_ 수잔 드레이크(Susan Drake) KDB 모형 절차 (0) | 2023.03.31 |
통합교육과정_ 포가티(Forgarty)의 모형 (0) | 2023.03.30 |
통합교육과정_ 하이디 제이콥스(Heidi Hayes Jacobs) 설계 절차 (0) | 2023.03.29 |
통합교육의 필요성_ 인식론적 기능/ 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