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_ 교원양성교육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연구 4가지 유형

도날드 쇤은 10장 앞 부분에서 성찰적 연구의 4가지 유형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는 합리적인 기술 모형에서 벗어나 '성찰적 대화'를 기반으로 행위 중 앎의 재구성을 지속하는 성찰적 실천가를 대안으로 제시하며, '성찰'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한다. 그리고 성찰을 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성찰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언급한다. 

 


전문가의 조건: 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전문가의 조건 | 도날드 쇤 - 교보문고

전문가의 조건 | 오늘날 사회를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라고 부른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일터 세계가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 조직, 국가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지식의 양과 질은 무한

product.kyobobook.co.kr

저자: 도날드 쇤 

옮긴이: 배을규

 

출처: Pixabay

 

 

성찰적 연구의 4가지 유형

1) 문제 틀 및 역할 틀 분석에 관한 연구 frame analysis

문제 틀을 규정하고, 자신의 역할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의미한다.

틀 분석 연구가 진행되면 실천가가 특정한 역할을 틀을 선택하여 수반되는 실천 문제의 규정과 해결, 실천가로서 자신의 역할을 규정하고 실천 활동의 성공과 실패의 의미 규정 등을 경험하게 해줄 수 있다. 실제 역할 틀을 적용할 때, 그 결과가 어떻게 될지 관련된 시사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 감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나아가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이해하도록 도와주며 실천가가 자신이 갖고 있는 틀에 대한 노력을 계속하도록 만들 것이다. 

 

2) 지식 레퍼토리 구성에 관한 연구 Repertoire-building research

실천가들이 당면하는 독특한 상황들에 적용하게 될 이미지, 범주, 도식, 사례, 범례들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금까지 연구는 최초의 상황, 후속 행동, 성취 결과만 보여줬는데 탐구 활동 전개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 연구가 된다면 실천가에게 범례로 활용될 수 있다. 

 

3) 탐구 방법과 포괄적 이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undamental methods of inqury and overarching theories 

포괄적 이론과 일반적 탐구 방법은 실천가들이 경험하게 될 새로운 상황 이해를 도와주는 디딤돌, 얼핏 보면 그런 상황들에 잘 맞아 보이는 방법과 이론을 의미한다. 세 번째 연구는 이런 이론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들이 직면하는 상황을 재규정하고, 실천가들의 현장 변주 실행에 활용되는 중요한 연구 유형을 의미하며 다음 2가지 형태가 있다.

- 실천가의 실천 활동 사례를 검토하여 실천가의 인식 방법과 재구조화 방법을 확인하는 형태

- 액션 사이언스 action science 형태로 독특, 불확실, 불안정한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가가 자신의 이론과 방법을 구성해낼 수 있는 '테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4) 행위 중 성찰 과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process of reflection-in-action  

행위 중 성찰의 성격과 행위 중 성찰의 촉진 및 저해 요인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인지적 정서 상태", 사회적 맥락에 영향을 받는 "인지 과정"에 주목하여, '관찰', '면담', '연구', '개입' 틍을 통해  수행 과정에서 사고하고 행동하는 방법을 관찰하고 면담을 하여 수행한 과정에 대해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성찰적 연구에서 연구자와 실천가는 남다른 파트너십의 모습이 형성된다. 연구자는 실천가에게 지원자로, 성찰적 연구자는 실천가를 위한 컨설턴트 역할을 하며 실천가의 입장을 견지하고, 실천가는 스스로 성찰적 연구자가 되어 연구자와 실천가의 역할을 넘나들 수 있다. 

 

 

[참고문헌]

  • 배을규(역)(2018). 전문가의 조건-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박영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