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쇤의『 전문가의 조건』총 10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0장은 '전문직의 사회적 위상'에 대해 다루었고,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10장은 내용이 상당히 많아서 몇 차례에 걸쳐서 소개해보고자 한다.
전문가의 조건: 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전문가의 조건 | 도날드 쇤 - 교보문고
전문가의 조건 | 오늘날 사회를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라고 부른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일터 세계가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 조직, 국가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지식의 양과 질은 무한
product.kyobobook.co.kr
저자: 도날드 쇤
옮긴이: 배을규
행위 중 성찰 (reflection in action) 이란 무엇인가?
도날드 쇤『 전문가의 조건』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으로, "직관적으로 행위를 수행하다가 원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경우, 행위 중 앎의 재구성을 통해 대처하는 성찰과정"을 의미한다.
성찰적 실천가는 누구인가? 행위 중 성찰을 하는 실천가는 누구인가?
고객과의 성찰적 대화를 통하여 자신의 전문성이 지닌 한계를 발견하려 노력하는 사람이다. 해야 할 업무의 규정, 업무를 규정하는데 사용하는 행위이론, 업무 성과에 대한 평가 방법 등에 의문을 제기하고, 실천가들이 담당해야 할 역할들을 결정하는 조직 지식 구조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다.
전문가와 성찰적 실천가는 어떤 점에서 다른가?
전문가(Expert): 어떤 분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고객과 거리를 두고 전문가 역할에 집중한다. 일종의 "도움을 주는 사람", 전문가로서 외면적 모습에서 고객이 존경과 인정을 하도록 만든다.
성찰적 실천가(Refelective Practitioner): 유일하게 해당 상황에 적합하고 중요한 지식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해당 상황에서 고객이 전문성에 대한 존경심을 발견하도록 만든다. 고객으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하고, 고객과의 실질적 연대감을 찾는다.
[참고문헌]
- 배을규(역)(2018). 전문가의 조건-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가로. 박영스토리.
'교육학_ 교원양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실천을 하는 전문가 특징 (0) | 2023.04.12 |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실천가로서 교사 (0) | 2023.04.11 |
전문가의 조건 제10장_ 성찰적 연구 4가지 유형 (0) | 2023.04.10 |
전문가의 조건, 제2장 기술적 합리성과 행위 중 성찰 (0) | 2023.03.27 |
전문가의 조건, 제1장 전문가 지식: 신뢰의 위기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