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_ 교육과정사회학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_ 콜버그의 정의공동체로서의 학교와 권한부여

교육학 박사과정, 교육과정사회학 수업의 2번째 시간은『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저자: 이윤미 외 8인) 에서 제1부 권력과 실천 중 콜버그의 정의공동체학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확실히 1장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보다는 내용이 쉬웠고, 학교 현실 상황과 비교해보기도 조금은 수월했던 글이었다. 물론 콜버그가 언급한 정의공동체로서의 학교가 과연 얼마나 현실 가능할까?에 대한 고민과 질문은 여전히 남아있다. 

 

[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도서 구입 링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이윤미 - 교보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미래교육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한국 교육학의 실천적 성찰을 위한 탐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이 책은 교육학에 대해서 다룬다.

product.kyobobook.co.kr

출처: unsplash

 


제1부 권력과 실천_ 콜버그의 정의공동체로서의 학교와 권한부여 리뷰

 

학교 교육에 있어서 도덕 및 인간교육은 가장 중요한 교육 중 하나이다. 그러나 실제 학교에서 ‘도덕’, ‘윤리' 수업, 학급 자치 활동 등을 포함한 ‘인성교육'은 국어, 영어, 수학 교육보다 뒷전으로 밀려있는 게 사실이다. 학교폭력 등 다양한 사회 문제가 대두되면서 한국에선 세 계 최초의 인성교육진흥법도 적용되고 있지만 법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전아름(2019)은 콜버그의 ’정의공동체 학교‘가 우리나라의 민주시민교육에 직접 적용 가능한 롤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정의공동체 학교는 민주주의와 공정성을 기초로 한 공동체 로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공동체 문제에 대한 자율적 결정권을 부여하여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간다. 혁명가이자 촉진자로서의 교사가 도덕적 분위기라는 잠재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더 높 은 단계로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제도와 교과목, 외부적인 접근으로만 인성교육 및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한국 교육의 현실에 ‘학교와 공동체 자체가 정의로워야 한다’라며 학교 내부의 자발적인 변화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교사와 학생들이 만들어가는 도덕적인 교실 문화 형성이 보다 더 근본적인 대책이며, 나아가 민주사회를 위한 시민 양성에 훌륭한 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콜버그가 언급한 것처럼 “시험을 잘 봐야 한다는 드러나지 않은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학생에게 부정행위를 강요”하게 만들고 있는 게 현실이다. 입시라는 커다란 산 이 있는 한 학교의 문화와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것은 어렵게 느껴진다. ‘입시'라는 제도를 바 꿀 수 없다면 ‘입시’가 대수롭지 않은 하나의 과정이고, 자격요건에 불과하다는 그 문화를 교 실 안에서부터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덕 판단은 단순히 개인의 추론과 능력이 아닌 분위기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는다는 니안틱 감옥 프로젝트의 결과와 같이 먼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부터 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콜버그의 정의공동체 학교는 대안학교나 학교 민주주의를 교육하는 교실 상황에서 부분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교육과정 일부분에서 강조하는 것은 충분치 않다.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따돌림, 왕따, 입시 위주의 경쟁 교육 등을 해결하고, 민주주의 사회에 관한 관 심으로 이끌고 가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 이제는 부분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넘어서 학교 자체가 민주적인 의사결정 공동체로서 이를 바탕으로 한 참여민주주의의 확대가 필요하다. 나아가 콜버그가 언급하는 정의공동체학교는 단순히 공동체를 중요시하는 교육이 아니라 “도덕원리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보편적인 관점에서 추론할 수 있는 자율적인 존재"라는 측면에서 그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더 부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이윤미·김세희·성열관·신병현·심성보·우정길·전아름·조나영(2019).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콜버그의 정의공동체로서의 학교와 권한부여(pp117-144). 살림터.

 

※ 본 글은 교육과정사회학 과목을 수강하면서 수행한 과제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 무단으로 복제, 발췌, 재배포하는 것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