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_ 교육과정사회학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_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

교육학을 전공하고 있고, 박사과정 4학기 차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학기 교육과정사회학 수업에서는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저자: 이윤미 외 8인) 을 다루게 되었는데 매번 논평을 작성하게 되어서 블로그를 통해 공유하고자 한다.

 

[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도서 구입 링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이윤미 - 교보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미래교육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한국 교육학의 실천적 성찰을 위한 탐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이 책은 교육학에 대해서 다룬다.

product.kyobobook.co.kr

출처: unsplash

 


제1부 권력과 실천_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 리뷰

 

듀이와 비고츠키는 교육학을 공부하라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학자 중의 하나이다. 듀이는 교육을 성장이라고 규정하고, ‘경험의 끊임없는 재구성’을 강조하였다. 비고츠키는 인간이 학습하는 과정이 언어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오늘날까지 듀이와 비고츠키의 이론은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어 오고 있지만 앞서 언급한 핵심 주장 보다 깊이 있게 다루거나 그 둘의 관점을 연결해서 보는 시도는 드물다.

 

이윤미(2019)는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을 역사적인 배경으로부터 살펴보고, 여러 학자의 입장에 대해 비교‧분석한 후, “듀이와 비고츠키가 만나는 지점”을 듀이는 ‘성장’, 비고츠키는 ‘발달’이란 용어를 사용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듀이와 비고츠키 성장 논리의 핵심은 “사회적 존재로서 세계와 교통하는 능동적 인간 주체”라고 밝혔으며, 이는 개인주의가 지배하는 현시대에 필요한 메시지이며, 지향해야 할 메시지임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듀이와 비고츠키의 교류 가능성에 대한 추측과 서구 학자들의 논쟁은 듀이와 비고츠키의 이론적 기반을 이해하고, 핵심 주장을 왜곡 없이(?)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동시대에 살았던 두 명의 학자가 이론을 구성하는 사상과 철학적 배경은 다르지만 유사한 개념들을 비교하고 분석하면서 그들의 핵심 주장과 실체에 대해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특히 오브라이언(2002)이 글래스맨(2001)을 비판하면서 언급한 교사에 대한 듀이의 관점은 지금까지 잘 드러나지 않은 내용이기도 하다. 듀이는 ‘가르쳤다는 사람은 있는데 배웠다는 사람이 없으면 교수 행위가 성립되기 어렵다’, ‘아동과 교과의 연결은 교사’라고 언급했지만 지금까지 듀이의 아동중심교육만 강조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듀이와 비고츠키의 이론이 신자유주의교육으로 인해 상실되어온 ‘공동체’, ‘민주주의’의 가치에 대한 대안적 이론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으로부터 “인간이 자유로운 상호작용 속에 타인과 맺는 창의적이고 협동적 관계를 통한 발달을 지향”해야 한다고 결론 맺는다. 이는 오늘날 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역량”의 개념과도 연결될 수 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중요한 통찰을 보여줄 수 있는 이론일 수 있다. 참고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비전을 설정하고, 개정의 중점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삶과 성장을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 

 

듀이와 비고츠키의 이론은 한때 진보주의가 쇠퇴하면서 드러나지 않은 것처럼 보였지만 과거부터 지금까지 계속적으로 강조된 중요한 사상이자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개념의 철학적 기반을 살펴보고, 이론을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이윤미·김세희·성열관·신병현·심성보·우정길·전아름·조나영(2019).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pp13-41). 살림터.

 

※ 본 글은 교육과정사회학 과목을 수강하면서 수행한 과제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 무단으로 복제, 발췌, 재배포하는 것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