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적 교사교육의 실제와 이론」11장에서는 교사의 반성을 촉진하는 도구 및 기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학생과의 관계형성에 당면하는 문제를 분석하고 극복할 수 있는, 자기 성장능력을 갖춘 교사가 될 수 있도록 단계적 접근법을 수행하는 실습록을 중심으로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 YES24
이 책의 원저자인 Fred Korthagen은 탐구중심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로 실천해 보며 그를 바탕으로 경험적 연구를 통한 검증까지 이루어 낸 교사교육 분야의 독보적인 전문가로 인
www.yes24.com
제11장 반성의 촉진을 위한 도구 및 기법 p349-381
○ 예비교사는 독립적으로 적절한 수준의 반성을 어려워함
- 예비교사의 외적 지향성(외부의 도움에 의존)
- 문제에 대한 분명한 이해 전에 해결책 탐색
- 예비교사의 자기중심적인 사고
- 한 가지 해결책으로 만족
- 학습과정의 일관성 결여
○ 체계적인 반성을 학습하기 위해 실습록의 활용법은?
ALACT모형 에 따라 각 단계별 반성을 촉진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질문의 예시가 제시됨
1단계(Action)/ 5단계(Trial)
- 내가 성취하고자 한 것, 내가 특별히 주목한 것, 내가 시도하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2단계(Looking back on the action)
-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원한 것, 한 일, 생각했던 것, 감정, 학생이 원했던 것)
3단계(Awarness of essential aspects)
- 앞 단계에서 언급된 것들과 관련한 해답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
- 주변 환경은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발견된 문제점은 무엇인가?
4단계(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action)
- 어떤 대안이 있다고 보는가? 대안의 장단점은? 다음에는 어떤 것을 해결할 것인가?
○ 교사교육자는 '점진성의 전략(쉬운 상황에 대한 반성부터 시작)', '표준적 반성 질문의 활용', '메타-반성의 시간', '순환적 과정의 분석에 대한 강조(교사와 학생 간의 순화적 과정 살펴봄)', 교사교육자에 의한 개별적 지도 및 피드백 등을 통해 예비교사의 반성을 도울 수 있음
○ 반성을 위한 총체적 기법
- 은유법(은유적 언어는 깊은 사색을 도움)
- 그림 그리기(교육, 이상적인 교육현장을 표현)
- 사진(그림 그리기에 저항감이 있다면 사용)
- 그림 제시(연상을 촉진하는 그림 제시)
- Kelly의 레퍼토리 격자 만들기(개인적 구인에 대한 Kelly(1995) 질문 기법에 근거하는 것. 목록에서 특징의 반대되는 것에 이름을 붙임)
- 지시적 공상(공상활동을 하는 것.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실상황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
[참고문헌]
- 조덕주 외(역)(2007).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서울: 학지사.
- Korthagen, F. A.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교육학_ 교원양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교육 프로그램_ 미국 뉴욕대학교 교사교육 프로그램 (0) | 2023.05.23 |
---|---|
교사교육 프로그램_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캐나다 퀸즈대학교 사례 (1) | 2023.05.22 |
반성적 교사교육의 실제와 이론_ 교사 지식의 3가지 수준 (0) | 2023.05.15 |
반성적 교사교육의 실제와 이론_ 예비교사에 대한 집단적 지도 (0) | 2023.05.09 |
반성적 교사교육의 실제와 이론_ 예비교사의 개별적 지도 과정(2)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