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_ 교원양성교육

반성적 교사교육의 실제와 이론_ 예비교사에 대한 집단적 지도

「반성적 교사교육의 실제와 이론」7장에서는 예비교사 개별적 지도 과정에 대한 기술들이 언급되어 있다면, 9장에서는 예비교사를 지도할 수 있는 그룹별(집단적) 지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안내되어 있다. 

 

출처: unsplash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 YES24

이 책의 원저자인 Fred Korthagen은 탐구중심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로 실천해 보며 그를 바탕으로 경험적 연구를 통한 검증까지 이루어 낸 교사교육 분야의 독보적인 전문가로 인

www.yes24.com

 

 

제9장 예비교사에 대한 집단적 지도 p257-296

○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예비교사 집단의 지도를 위한 절차는 무엇인가?

 

- 사전 구조화: 경험을 구조화하는 과제를 부여하는 것

- 경험: 구체적인 것에 관심, 이를 통해 게슈탈트를 끌어내는 것

- 구조화: 자신의 경험을 명료화, 분류, 일반화하는 것

- 집중: 경험과 게슈탈트의 특정 측면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는 것

- 이론화: 이론적 개념과 원칙을 소개하는 것 

 

○ 집단 세미나의 맥락에서 예비교사에게 자신의 게슈탈트를 재구성하도록 하고, 경험에 기초한 교육이론을 내면화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은? 실제 적용해보면 좋을 활동들이 제시되어 있다.

 

- 벽 쌓기: 자신의 '교수활동의 벽'을 쌓는 것. 종이(벽돌)에 목표와 안내를 위한 원칙에 대해 적어보고, 벽을 쌓아보는 활동이다. 집단 구성원들의 다양한 벽을 비교해 보는 활동으로 이를 통해 중심적인 원칙이 있다는 것이 드러날 수 있다. 

 

출처: 조덕주 외(역)(2007). 벽 쌓기. p278

 

- 열 만들기: 교육의 목적과 실제 교수 행위 간의 관계에 대해 반성하는 활동이다. 교수목표와 행동을 자세히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 열 만들기 p280

일반적 교육목적 특정 기간 동안
한 학급에서의 수업 목표
수업 1의 세부 목표 수업 1에서의 특별한 에피소드






     

 

- 레퍼토리 격자 만들기: 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사의 행위와 학생 특징 간의 관계에 관련된 활동, 학생 이름이 쓰여진 세 개의 카드를 제시하고(예비교사 모두 잘 알고 있는) 다른 두 학생과 매우 다르다고 생각하는 학생을 선택하고, 선택한 학생의 차이점을 기술, 특징을 공식화 함으로서 개인적 구인 개념의 목록을 만드는 것. 

모든 특징이 이분법의 한 극단에 있다는 것을 깨달으면 반성적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

 

- 화살표 만들기: 예를 들어 왼쪽엔 '독립적인 학생' '의존적 학생' 을 작성하고 가운데 화살표에 대안과 전략을 적는다. 가장 오른쪽엔 전략의 이점에 대해 생각해보고 질문하면서 교수 전략을 발견할 수 있도록 자극한다.

학생 개별의 특징, 교육목적, 교수 행위 간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출처: 조덕주 외(역)(2007). '화살표 만들기' 방법적인 기술의 적용. p282

 

 

 

[참고문헌]

  • 조덕주 외(역)(2007).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서울: 학지사.
  • Korthagen, F. A.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