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_ 교원양성교육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2장 교사학습에 대한 관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제2장 교사 학습에 대한 관점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하그리브스(Hargreaves)의 시대적 접근 숀(Schon)의 반성적 접근, 카크란 스미스와 라이틀(Cochran-Smith&Lytle)의 지행 관계적 접근, 자이크너(Zeichner)의 교육 이데올로기적 접근 중 하그리브스와 쉔의 반성적 접근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특히 쉔의 반성적 접근은 교원양성교육과정 카테고리에 전문가 지식, 행위 중 성찰/성찰적 실천가 등의 개념을 중점으로 소개한 바 있다. 

 

 

[참고]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도서 링크

 

교사 학습 공동체 | 서경혜 - 교보문고

교사 학습 공동체 | ▶ 이 책은 교사 학습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교사 학습 공동체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product.kyobobook.co.kr

출처: unsplash

제2장 교사학습에 대한 관점(하그리브스, 숀)

교사학습은 관점과 입장에 따라 시대 변화에 따라,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 하그리브스(Hargreaves)의 시대적 접근

- 「전문성의 네 시대와 전문가 학습(2000)」에서 교사 전문성의 변천 과정을 1)전문성 이전 시대, 2)자율적 전문성의 시대, 3)협업적 전문성의 시대, 4)포스트모던 전문성의 시대로 분류하였다. 

- 전문성 이전 시대(Pre-professional Age): 교사교육은 양성교육에 집중하여 도제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학생 개개인의 요구에 관심을 가지보다 집단으로 다루고 제한적 전문성으로 아마추어와 다를바 없었다. => 교육실습 확대 주장

- 자율적 전문성의 시대(Age of Autonomous Professional): 교사양성교육은 사범학교, 전문대학 등을 거쳐 대학에서 이루어졌고, 대졸 학력을 요하는 직업이 되었다. 교사교육의 발전이 크게 이루어졌으나 교직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개인주의를 가져오기도 했다. => 학문적 지식 전수 위주의 교사교육

- 협업적 전문성의 시대(Age of Collegial Professional): 1980년대 중반, 교사 개인의 자율적 전문성으로는 학교교육의 복잡성에 효과적 대응이 어려워졌다. 교사가 가르쳐야 하는 교과내용의 팽창과 급격한 변화, 교수 스타일과 방법에 대한 지식의 급증, 학생지도 업무의 증가, 통합교육의 확대, 문화적 다양성의 증가 등 교사 협업이 중요시되고 있다. 교사의 학습, 현직교육, 교사양성교육이 학교를 중심으로 협력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 협력적 실천, 연구, 학습을 강조하는 단위학교 중심의 교사교육

- 포스트모던 전문성의 시대(Age of Post-professional or Postmodern Professional): 21세기 사회와 교육의 변화로 인하여 포괄적이고 유연하며, 민주적이고 외부의 다양한 집단들을 포용하는 새로운 성격의 포스트모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시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탈전문가의 위기에 따라 교사들은 대중과의 긴밀한 관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학교는 해체되어 가고 있는 공동체를 존속, 부흥시킬 수 있는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 교사 전문성의 획일화, 표준화

- 현 시대에 공존하는 개념들이며 탈전문가의 위기에 맞서 자율적, 협업적 전문성 시대 교직 전문화를 위한 노력을 유지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숀(Schon)의 반성적 접근

- 전문가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무너진 전문성의 위기의 근원이 기술적 합리성에 있다고 보고, "행위 중 반성" 즉 반성적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 기술적 합리성에서 전문가의 지식은 학문적 지식에 기초하고 전문가의 실천은 학문적 지식을 적용, 실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행위 중 반성: 실천가의 암묵적이고 실천 속에 녹아있는 실천지 '행위 중 반성'을 통해 형성해, 실제 전문가는 실천상황에서 자신의 행위 기저의 앎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후속 행위에 구현, 검증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형성한다. 새로운 지식은 실천을 개선하고 행위 중 반성을 통해 전문가는 전문성을 향상하는 것이다. 

- 반성적 교사교육의 한계: 반성적 사고에 초점을 두는 행위에 대한 반성과 관련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교사 반성에 대한 연구는 실천행위 기저의 실천지를 표면화, 비판, 재구성하는 것에 그쳤다. 즉 숀이 행위 중 반성의 개념을 통해 강조한 앎과 행위의 상호작용은 교사 반성에 대한 연구 대부분에서 구현되지 못했다.

- 숀의 반성적 실천론은 교사의 학습과 전문성 개발을 개인적 과정으로 접근하였다. 교사 개인의 전문성은 발전하였으나 교사들이 공유하는 집단전문성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 집단전문성이 강조되어야 함

 

 

 

[참고문헌]

  • 서경혜(2015).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