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스터디_ 기타

교육지도성론_ 공정성 이론: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본 글은 교육학 대학원 과정 중, "교육지도성론" 과목에서 과제로 작성하였던 내용을 일부분 발췌하였다. 당시 과제는 현재까지 배운 인사행정과 전문적 자본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이 몸담고 있는 조직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찾아보기였다. 다음에서는 과제에서 활용되었던 "공정성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출처: Unsplash

 

공정성 이론이란?

정주영(2018)에 의하면, 개인이 타인에 비해 얼마나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 투입 대비 성과 비율이 자신과 타인이 동등하고 느끼는 것, 조직 구성원이 공정한 거래를 하고 있고,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는 것을 공정성 이론이라고 설명한다.

 

공정성 이론’은 구성원들이 조직으로부터 받는 공정한 대우의 정도를 의미하며, 조직 공정성 이론에는 조직으로부터 받은 보상, 칭찬 등 자원의 분배 공정성 인식에 관한 ‘분배공정성’, 이러한 분배에 활용된 절차나 규칙의 공정성에 관한 ‘절차공정성’,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신중하고 예의있게 얼마나 존중받는지와 관련된 개념으로서 ‘상호작용공정성’이 있다.

 

분배공정성

먼저 ‘분배공정성’은 Adams(1965)로 대표될 수 있는데, 그는 직무수행에 동원한 노력, 교육 정도, 사회적 지위, 자격 등이 포함된 투입 대비 보수, 승진, 안정성, 직무만족, 훈련 기회와 같은 성과 비율에 따라 공정성, 과대 보상과 과소 보상을 느끼게 되고 과대 보상과 과소 보상의 경우, 모두 불공정성을 자극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조직의 불공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투입이나 성과를 조정하거나 투입이나 성과의 인지적 왜곡이 일어나기도 하며, 비교 대상의 투입과 성과의 변경, 비교 대상의 변경, 조직의 이탈과 같은 행동을 취하게 된다고 설명한다(정주영, 2018).

 

절차공정성

Leventhal(1980)은 절차공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의미의 일관성, 편견 배제, 정확성, 정정 가능성, 대표성, 윤리성 6가지 규칙들을 강조했다. 즉, 업무에서 의사결정의 과정들이 시점이 변해도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편견을 배제하며, 반드시 정확한 정보에 근거해야 한다. 또한 잘못된 의사결정을 수정하고, 관련된 모든 사람의 관심 사항을 대표하고, 공유된 윤리기준에 부합하는 것이 ‘절차공정성’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상호작용공정성

Colquitt(2001)은 어떠한 절차를 수행하거나 성과를 결정할 때 상사 및 관리자로부터 공손하고 정중하게 대우받는 느낌의 ‘대인 공정성’과 왜 그러한 절차가 있었는지, 왜 그렇게 성과를 분배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상사가 구성원들에게 투명한 의사소통과 상세하게 정보를 나누는 ‘정보 공정성’을 ‘상호작용공정성’으로 언급하였다.

 

 

<소감>

직원들이 투입 대비 성과 비율이 적절하게 분배되어 있다고 느끼지 못하고,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있어 절차가 공정하지 못하며, 그러한 결정들에 대한 이유가 적절한 의사소통 없이 통보되면 ‘불공정성’을 느낀다는 것인데, 본인이 겪고 있는 문제들이 이 이론에 딱 들어맞는 것을 보니 놀라웠다. ‘이게 혼자 겪는 문제가 아니구나. 누구나 이런 문제에 대해 불공정하다고 느끼는구나!’ 이론을 통해 위로받기는 또 처음이다. 조직의 문제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때, 단순히 감정적인 문제라고 여겼던 부분들이 객관화되어 보이기 시작하고, 혼자 꽁꽁 싸매고 어려워할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비슷하게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의 해결책은 의외로 간단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 또한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과 그 원인에 대해 리더십과 구성원들이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가능하며, 추진력 있게 변화를 만드는 리더십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정주영(2018). 제4장 교원의 동기부여. 안암교육행정학연구회. 제2판 학교중심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pp. 84-109). 서울: 박영스토리.
  • Adam, J. S.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Ed. L. Berkowitz, Advances in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 2, 267-299.
  • Colquitt, J. A. (2001). On the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A construct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386–400.
  • Leventhal, G. S. (1980). What should be done equity theory? In K. J. Gergen, M. S. Greenberg, R. H. Willis(eds), Social Exchange: Advonce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Plenum. 27-55.

 

※ 본 글은 교육지도성론 과목을 수강하면서 수행한 과제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 무단으로 복제, 발췌, 재배포하는 것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