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개정교육과정

(5)
마이클 애플 5장 '이미 이룬 변혁을 유지시키기 - "저개발 세계"에서 배우다' 리뷰 마이클 애플은 “교육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에 대한 응답의 사례로 브라질의 포르투알레그리 지역을 소개하고 있다. 포르투알레그리는 브라질 남부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130만 명이 살고 있으며, 1989년부터 2005년까지 노동자당이 이끈 지역이었다. 특히 노동자당이 집권할 당시, 주민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한 “주민참여행정”과 “시민학교”를 통해 소외된 빈곤층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키고, 시민들을 위한 살아있는 교육을 제공함으로 경제적·교육적 향상을 이끌어 왔다. 다음에서는 마이클 애플(2012/2018)이 소개한 포르투알레그리 지역의 “주민참여행정”과 “시민학교”의 주요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고,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참고] 교육은 사회를 바꿀 ..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살펴본 '역량' 역량 중심 교육과정은 OECD의 DeSeCo프로젝트(데세코 프로젝트,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에서부터 출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직업 사회의 필요에서 시작되었지만 교육에까지 적용되어 2015 교육과정의 방향이 되었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자기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 보고 있다. 최근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가 발표되면서 '학생의 행위 주체성(student agency) 및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dies)'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고교학점제란?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기초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를 말한다.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골라 듣고 정해진 만큼 학점을 채우면 졸업을 인정하는 제도다. 문재인정부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체제 전반의 변화를 이뤄내기 위해 고교학점제를 추진했다. 학생들이 졸업을 위해 이수해야 하는 학점은 192학점이다. 1학점은 50분을 기준으로 한 학기에 16회를 이수하는 수업량이다. 1학점 수업량을 50분 기준 17(16+1)회에서 16회로 전환하였으며, 필수이수학점을 84학점(조정)으로 하고, 자율이수 학점 이수 ..
2022 개정 교육과정 '진로연계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이란? 상급 학교로 진학하기 전(초6, 중3, 고3), 2학기 중 일부 기간을 활용하여 학교급별 연계 및 진로 교육을 강화하는 진로연계학기 운영을 의미한다. 학생 성장의 연속선 상에서 학교급 간 교과 내용 연계와 진로 설계, 학습방법 및 생활 적응 등을 위한 학습과 진로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한다. - 교과에서는 학생의 역량 개발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교과별 학습 경로, 학습법, 진로 및 이수 경로 등의 내용으로 단원을 구성한다. -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상급 학교급·학년군으로 전환 시 기초학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학생 개개인의 수준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 개별화된 학습 지원한다. - 교과 외 활동을 통..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2024년부터 초등학교 1-2학년, 2025년부터 중·고등학교 연차에 적용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지난해 12월 확정 발표되었다.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자율시간, 진로연계교육, 고교학점제가 주요한 변화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에서도 '학교자율시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자율시간이란? * 본 글은 김종훈(2022)의 연구를 바탕으로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취지는 ‘교사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 확대’로 초·중학교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어 학교가 교육과정을 자유롭게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시간. 각 학교는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20% 범위 내에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