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단전문성

(2)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2장 교사학습에 대한 관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제2장 교사 학습에 대한 관점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하그리브스(Hargreaves)의 시대적 접근 숀(Schon)의 반성적 접근, 카크란 스미스와 라이틀(Cochran-Smith&Lytle)의 지행 관계적 접근, 자이크너(Zeichner)의 교육 이데올로기적 접근 중 하그리브스와 쉔의 반성적 접근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특히 쉔의 반성적 접근은 교원양성교육과정 카테고리에 전문가 지식, 행위 중 성찰/성찰적 실천가 등의 개념을 중점으로 소개한 바 있다. [참고]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도서 링크 교사 학습 공동체 | 서경혜 - 교보문고 교사 학습 공동체 | ▶ 이 책은 교사 학습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교사 학습 공동체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1장 "집단전문성" 과거에는 일방적인 전달 위주의 교사 연수 및 교사교육, 교원양성 프로그램을 개발이 주를 이루었다면, 현재는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자발적 교사교육에 대해 중점을 두고 있다. 다음에서는 서경혜(2015) 소개된 교사학습공동체의 '집단전문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도서 링크 교사 학습 공동체 | 서경혜 - 교보문고 교사 학습 공동체 | ▶ 이 책은 교사 학습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교사 학습 공동체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product.kyobobook.co.kr 제1장 집단전문성 ○ 교직은 전문직인가? - 교직의 전문화를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위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즉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