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게바라보기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_ 푸코와 '자기 배려'의 주체 교육과정사회학 수업에서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를 주교재로 다양한 교육 이론을 접하고 있다. 1장은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에 대해서 살펴봤는데 처음 접해본 내용들이 많아 어려웠고, 두 번째 살펴본 내용은 1장보다는 수월했지만 콜버그의 정의공동체의 개념이 새롭게 다가왔다. 이번엔 푸코와 '자기 배려'의 주체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학 때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를 통해 푸코 철학에 대해 잠깐 훑어본 덕분인지 내용이 그때보단 잘 들어왔던 것 같다. [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도서 구입 링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이윤미 - 교보문고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 미래교육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한국 교육학의 실천적 성찰을 위한 탐구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 이 .. 이전 1 다음